Article
국내회사와 다국적기업 제조 ELISA 키트의 전염성 기관지염 백신에 따른 항체 검출능 비교
김규직1,†, 김준영1, 윤하나2, 주효선2, 이다예2, 송창선2
Development of Infectious Bronchitis Virus (IBV) ELISA Kit for Detection of Antibodies against Nephropathogenic IBV Vaccine
Kyu-Jik Kim1,†, Jun-Young Kim1, Ha-Na Youn2, Hyo-Sun Ju2, Da-Yeah Lee2, Chang-Seon Song2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
1Avian Disease Laboratory,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Konkuk University, Seoul 05029, Republic of Korea
2KCAV Co., Ltd., Seoul 05029, Republic of Korea
ⓒ Copyright 2018, Korean Society of Poultry Science.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Nov 16, 2017 ; Revised: Mar 26, 2018 ; Accepted: Mar 27, 2018
Published Online: Mar 31, 2018
적요
전염성기관지염은 전세계적으로 양계산업에 문제시되고 있는 질병으로서 이를 예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Dhama et al., 2014). 본 연구는 전염성기관지염 백신을 진행한 여러 계군의 혈청을 수집해 국내회사와 다국적기업 에서 제조한 ELISA 키트의 검출능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 다. 육용원종계부터 산란계까지 총 35개의 계군으로부터 주기적인 채혈을 통해 얻어진 혈청을 사용해 두 가지 키트의 검출능 비교시험을 진행한 결과, 국내회사에서 제조된 ELISA 키트가 더 높은 항체가를 나타냈으며, 이는 미량의 항체도 국내회사 제조 키트를 사용하게 되면 더욱 민감하게 검출 될 수 있으며, 농장의 상황 판단에 더욱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비추어 보았을 때,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는 전염성기관지염에 맞춰 제작된 국내회사 제조 키트가 더 검출능이 뛰어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주기적인 혈청을 이용한 항체가 검사 결과 전염성 기관지염 백신 후 항체가 변화 추이를 관찰할 수 있었다.
ABSTRACT
Infectious bronchitis virus (IBV) is an economically important disease in the poultry industry worldwide. This disease commonly manifests respiratory signs, poor egg quality, and decline in egg production. Since IBV is a RNA virus, the emergence of new variant strains is continuously reported and the immunization of susceptible chickens with only one antigenic type of the virus has been shown to induce partial or no protection against other unrelated type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diagnose IBV due to variants serotypes. In this study, we collected serum from various ages of Broiler GP (Grandparent) to Layer CC (Commercial chick) and performed detectability comparison test between domestic company and multinational company manufacturing ELISA kit. Results of this experiment suggest that domestic company manufacturing ELISA kit is more sensitive to infectious bronchitis antibody than that of the multinational company. Our findings also suggest that antibody’s change trends after infectious bronchitis vaccination. Thus, the use of appropriate kit for domestic situations is important.
Keywords: ELISA kit; nephropathogenic infectious bronchitis virus; IBV
서론
닭 전염성기관지염(Infectious Bronchitis; IB)은 IB 바이러스(Infectious Bronchitis Virus; IBV)에 의해서 발생되는 전파력이 매우 빠른 닭의 급성 전염병으로서 감염 시 폐사율은 높지 않으나, 이환이 빠르고 기침, 콧물, 증체율 저하, 난질 저하를 통한 산란율 감소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호흡기 후유증으로 인한 대장균이 이차적으로 감염될 시에는 만성 폐사가 지속되는 등 매우 다양하게 양계 산업의 생산성에 영향을 끼치며, 전세계적으로 양계산업에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유발하고 있다(Yan et al., 2016).
현재 국내에서 유행하고 있는 닭 전염성기관지염은 심한 호흡기와 산란저하 피해를 주로 유발하게 되는 호흡기형 닭 전염성기관지염과 호흡기를 동반하나, 신장염과 산란저하 피해가 비교적 더 심하게 나타나는 신장형 닭 전염성기관지염 등 크게 2가지로 구분되고 있다(Lim et al., 2015). 1986년도 이후 국내에서 호흡기형 닭 전염성기관지염이 유행하였으나, 1990년부터 국내에서 신장형 닭 전염성기관지염이 출현되어 현재는 국내에 호흡기형과 신장형이 복합적으로 유행하고 있다. (Lee et al., 2004).
이러한 닭 전염성기관지염에 대한 모니터링의 일환으로 ELISA를 이용한 항체가 측정이 이루어지고 있지만(Ding et al., 2015), 다양한 변이주를 가지는 닭 전염성기관지염 바이러스의 특성으로 인해 현재 시판되는 다국적회사 ELISA 키트의 경우, 국내 발생 분리주와의 혈청형이 맞지 않아 정확한 항체가를 측정하는데 한계점이 존재한다(Chen et al., 2011).
본 연구는 ELISA 키트의 효능확인을 위하여 육용원종계 3개 농장 4계군과 육용종계 3개 농장 4계군, 산란종계 5개 농장 및 산란계 6개 농장에서 사육 중인 닭의 혈청을 사용해 국내회사 및 다국적회사에서 제조된 2가지 ELISA 키트의 항체검출능 비교시험을 진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1. 시험동물 및 실험 설계
회사별 ELISA 키트의 검출율 비교시험을 진행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사육 중인 각기 입추 날짜가 다른 육용원종계(Ross 308) 3개 농장의 4개 계군에서 1일령부터 59주령까지 무작위로 선별된 계군당 15마리로부터 분리된 혈청을 사용하였으며, 육용종계(Ross 308)의 경우 육용원종계와 마찬가지로 3개의 각각 다른 농장으로부터 입식된 4개 계군에서 무작위로 선별된 15마리의 분리된 혈청을 사용하였다. 산란종계(Hy-line Brown)는 5개 농장에서 사육되고 있는 계군을 사용하였으며, 채혈을 통해 얻어진 혈청을 이용하였다. 산란계(Hy-line Brown)도 역시 각기 다른 날짜에 입추한 6개 농장에서 사육되고 있는 실용계를 사용하였으며, 산란종계와 산란계 역시 위와 마찬가지로 계군당 무작위로 선별된 15마리로부터 얻어진 혈청을 사용하였다. 또한, 시험에 사용된 실험 농장의 경우, 모두 정기적인 전염성기관지염 검사 결과, 모두 음성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2. 백신 프로그램
육용원종계와 육용종계 백신 프로그램의 경우, 대부분의 전염성기관지염 백신이 현재 국내에 유행하고 있는 KM91 (KBNP INC, Korea)에 대한 백신을 사용하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었다(Table 1).
산란종계는 5개 농장 모두 동일하게 4일령, 5주령, 10주령 및 19주령에 생독백신을 분무 접종하였으며, 1주령, 13주령, 16주령에 사독백신을 사용한 닭 전염성기관지염 백신을 진행하였다(Table 2).
산란계의 6개 농장이 조금씩 차이가 존재하지만 대부분 2주령, 3주령, 5주령, 8주령, 13주령 및 18주령에 닭 전염성기관지염 생백신을 접종하였으며, 1주령, 7주령과 15주령 산란계에 닭 전염성기관지염 사독백신을 접종하였다(Table 2).
이러한 백신 프로그램을 거친 산란계로부터 채취한 혈청을 이용하여 백신 후 항체가 변화 추이와 ELISA 키트 검출능 비교시험을 진행하였다(Table 6).
Table 1.
Vaccine program of Broiler GP(Grandparent) and PS(Parents) used in the experiment
Age of chickenA |
Broiler GPS |
Age of chicken |
Broiler PS |
Strain of IBVB |
Live/killed |
Strain of IBV |
Live/killed |
4 days |
KM91C |
Live |
1 day |
KM91 |
Live |
3 weeks |
KM91 |
Live |
3 weeks |
KM91 |
Live |
5 weeks |
KM91 |
Live |
5 weeks |
KM91 |
Live |
8 weeks |
KM91 |
Live |
8 weeks |
KM91 |
Live |
15 weeks |
KM91 |
Live |
15 weeks |
KM91 |
Live |
19 weeks |
KM91, Ma5D |
Killed |
19 weeks |
KM91, Ma5 |
Killed |
21 weeks |
KM91 |
Live |
21 weeks |
KM91 |
Live |
23 weeks |
KM91 |
Live |
26 weeks |
KM91 |
Live |
29 weeks |
KM91 |
Live |
32 weeks |
KM91 |
Live |
35 weeks |
KM91 |
Live |
38 weeks |
KM91 |
Live |
41 weeks |
KM91 |
Live |
44 weeks |
KM91 |
Live |
47 weeks |
KM91 |
Live |
50 weeks |
KM91 |
Live |
53 weeks |
KM91 |
Live |
|
|
|
|
59 weeks |
KM91 |
Live |
|
|
|
|
Download Excel Table
Table 2.
Vaccine program of Layer PS(Parents) and CC(Commercial Chick) used in the experiment
Age of chickenA |
Layer PS |
Age of chicken |
Layer CC |
Strain of IBVB |
Live/killed |
Strain of IBV |
Live/killed |
4 days |
Ma5C |
Live |
4 days |
M41 |
Live |
1 week |
QXD, KM91E, Ma5 |
Killed |
2 weeks |
K2 |
Live |
5 weeks |
Ma5 |
Live |
3 weeks |
K2 |
Live |
10 weeks |
Ma5 |
Live |
5 weeks |
K2 |
Live |
13 weeks |
QX, KM91 |
Killed |
7 weeks |
KM91, M41 |
Killed |
16 weeks |
Ma5 |
Killed |
8 weeks |
K2 |
Live |
19 weeks |
Ma5 |
Live |
13 weeks |
K2 |
Live |
|
|
|
15 weeks |
KM91, M41 |
Killed |
|
|
|
18 weeks |
K2 |
Live |
Download Excel Table
Table 3.
Serum antibody titer of Broiler GP (Grandparent) used in the experiment
A farm |
Age of chickenA |
Flock 1 |
Flock 2 |
Flock 3 |
Flock 4 |
Multinational ELISA kitB |
DomesticELISA kitC |
Multinational ELISA kit |
DomesticELISA kit |
Multinational ELISA kit |
DomesticELISA kit |
Multinational ELISA kit |
DomesticELISA kit |
48 weeks |
6234 |
8610 |
3189 |
5917 |
3958 |
6977 |
2983 |
6437 |
60 weeks |
4955 |
5985 |
4520 |
6564 |
2998 |
4830 |
3260 |
5360 |
Die out |
8380 |
8467 |
5980 |
7464 |
4660 |
5851 |
5729 |
7459 |
B farm |
Age of chicken |
Flock 1 |
Flock 2 |
Flock 3 |
Flock 4 |
Multinational ELISA kit |
DomesticELISA kit |
Multinational ELISA kit |
DomesticELISA kit |
Multinational ELISA kit |
DomesticELISA kit |
Multinational ELISA kit |
DomesticELISA kit |
22 weeks |
3022 |
4304 |
3882 |
5350 |
2972 |
3948 |
3436 |
5486 |
26 weeks |
3065 |
4169 |
3690 |
4555 |
3248 |
6377 |
6398 |
8326 |
30 weeks |
2306 |
2195 |
2172 |
2280 |
2407 |
2616 |
5262 |
5219 |
33 weeks |
4152 |
5600 |
1212 |
1967 |
2791 |
3628 |
5070 |
4660 |
36 weeks |
5248 |
5875 |
2298 |
2408 |
3640 |
3604 |
4565 |
4999 |
39 weeks |
3545 |
5143 |
6943 |
8281 |
7108 |
8343 |
4851 |
5516 |
42 weeks |
3832 |
5534 |
4038 |
7096 |
5112 |
7182 |
3709 |
5882 |
45 weeks |
5798 |
7815 |
5650 |
7477 |
11280 |
11280 |
3517 |
7072 |
C farm |
Age of chicken |
Flock 1 |
Flock 2 |
Flock 3 |
Flock 4 |
Multinational ELISA kit |
DomesticELISA kit |
Multinational ELISA kit |
DomesticELISA kit |
Multinational ELISA kit |
DomesticELISA kit |
Multinational ELISA kit |
DomesticELISA kit |
1 week |
4572 |
5470 |
6575 |
7736 |
3580 |
4931 |
4261 |
5394 |
3 weeks |
147 |
55 |
95 |
30 |
81 |
24 |
302 |
585 |
5 weeks |
273 |
877 |
673 |
2247 |
333 |
629 |
244 |
622 |
7 weeks |
885 |
1411 |
1001 |
1648 |
692 |
1316 |
416 |
800 |
10 weeks |
1382 |
2651 |
5184 |
7933 |
2490 |
6036 |
2391 |
3918 |
Download Excel Table
Table 4.
Serum antibody titer of Broiler PS (Parent stock) used in the experiment
A farm |
Age of chickenA |
Flock 1 |
Flck 2 |
Flock 3 |
Flock 4 |
Multinational ELISA kitB |
DomesticELISA kitC |
Multinational ELISA kit |
DomesticELISA kit |
Multinational ELISA kit |
DomesticELISA kit |
Multinational ELISA kit |
DomesticELISA kit |
48 weeks |
5428 |
6726 |
5229 |
6066 |
6327 |
7005 |
6978 |
7168 |
60 weeks |
8031 |
8414 |
8087 |
7549 |
657 |
7907 |
6629 |
8316 |
Die out |
7918 |
7598 |
7467 |
5889 |
7073 |
6335 |
6509 |
5492 |
B farm |
Age of chicken |
Flock 1 |
Flock 2 |
Flock 3 |
Flock 4 |
Multinational ELISA kit |
DomesticELISA kit |
Multinational ELISA kit |
DomesticELISA kit |
Multinational ELISA kit |
DomesticELISA kit |
Multinational ELISA kit |
DomesticELISA kit |
36 weeks |
5411 |
6162 |
4486 |
5987 |
2951 |
5097 |
3008 |
4284 |
48 weeks |
7085 |
6803 |
6458 |
6681 |
19891 |
12315 |
4153 |
5034 |
60 weeks |
7677 |
6206 |
5345 |
4380 |
4380 |
5126 |
8838 |
7493 |
C farm |
Age of chicken |
Flock 1 |
Flock 2 |
Flock 3 |
Flock 4 |
Multinational ELISA kit |
DomesticELISA kit |
Multinational ELISA kit |
DomesticELISA kit |
Multinational ELISA kit |
DomesticELISA kit |
Multinational ELISA kit |
DomesticELISA kit |
1 week |
7036 |
7105 |
4807 |
6425 |
4833 |
7787 |
7231 |
8089 |
3 weeks |
199 |
246 |
63 |
43 |
383 |
436 |
246 |
470 |
5 weeks |
168 |
467 |
617 |
2117 |
251 |
681 |
172 |
337 |
7 weeks |
122 |
158 |
463 |
1559 |
1660 |
2554 |
272 |
289 |
10 weeks |
923 |
1896 |
1906 |
4580 |
727 |
2578 |
1011 |
1987 |
14 weeks |
1261 |
1972 |
2744 |
4348 |
1914 |
2977 |
876 |
1435 |
18 weeks |
2204 |
3388 |
3346 |
5756 |
2953 |
3863 |
688 |
1202 |
Download Excel Table
Table 5.
Serum antibody titer of Layer PS(Parents stock) used in the experiment
A farm |
B farm |
C farm |
Age of chickenA |
MultinationalELISA kitB |
DomesticELISA kitC |
Age of chicken |
MultinationalELISA kit |
DomesticELISA kit |
Age of chicken |
MultinationalELISA kit |
DomesticELISA kit |
21 weeks |
6865 |
9073 |
5 weeks |
1158 |
4463 |
16 weeks |
6845 |
13713 |
26 weeks |
6546 |
8780 |
10 weeks |
4350 |
7411 |
19 weeks |
6600 |
11745 |
29 weeks |
2623 |
6901 |
25 weeks |
5013 |
4196 |
25 weeks |
5367 |
12314 |
41 weeks |
6977 |
7307 |
33 weeks |
10366 |
11476 |
28 weeks |
2538 |
13564 |
49 weeks |
1,777 |
6843 |
38 weeks |
8058 |
11981 |
40 weeks |
6238 |
11022 |
54 weeks |
9329 |
12276 |
42 weeks |
8550 |
12631 |
48 weeks |
9623 |
11193 |
58 weeks |
8915 |
14055 |
52 weeks |
8903 |
13003 |
53 weeks |
8113 |
12267 |
67 weeks |
8896 |
14967 |
55 weeks |
4888 |
13675 |
57 weeks |
10301 |
14783 |
71 weeks |
7946 |
15048 |
|
66 weeks |
8723 |
13676 |
|
69 weeks |
8364 |
14136 |
D farm |
E farm |
|
Age of chicken |
MultinationalELISA kit |
DomesticELISA kit |
Age of chicken |
MultinationalELISA kit |
DomesticELISA kit |
|
5 weeks |
623 |
3630 |
4 weeks |
1503 |
8922 |
|
11 weeks |
3101 |
8486 |
9 weeks |
4886 |
11618 |
|
14 weeks |
2001 |
7923 |
12 weeks |
2621 |
9540 |
|
26 weeks |
5029 |
10670 |
|
|
34 weeks |
9429 |
10011 |
|
39 weeks |
6195 |
10484 |
|
43 weeks |
6854 |
12222 |
|
52 weeks |
8408 |
14309 |
|
56 weeks |
7331 |
13538 |
|
Download Excel Table
Table 6.
Serum antibody titer of Layer CC(Commercial chicken) used in the experiment
A farm |
B farm |
C farm |
Age of chickenA |
MultinationalELISA kitB |
DomesticELISA kitC |
Age of chicken |
MultinationalELISA kit |
DomesticELISA kit |
Age of chicken |
MultinationalELISA kit |
DomesticELISA kit |
1 week |
5365 |
11331 |
1 week |
1830 |
7765 |
1 week |
2868 |
12496 |
2 weeks |
5143 |
5587 |
3 weeks |
116 |
658 |
4 weeks |
172 |
751 |
3 weeks |
2015 |
539 |
17 weeks |
7722 |
12676 |
5 weeks |
1378 |
7588 |
5 weeks |
1973 |
8441 |
22 weeks |
6307 |
12593 |
14 weeks |
9728 |
12253 |
8 weeks |
8674 |
13634 |
28 weeks |
6343 |
10412 |
21 weeks |
7633 |
11723 |
15 weeks |
3925 |
11173 |
39 weeks |
5296 |
10152 |
31 weeks |
5665 |
11619 |
20 weeks |
5932 |
11681 |
46 weeks |
6310 |
10278 |
38 weeks |
6421 |
12913 |
22 weeks |
8244 |
12137 |
53 weeks |
4963 |
11259 |
43 weeks |
6761 |
10857 |
27 weeks |
3686 |
7922 |
60 weeks |
5502 |
12959 |
51 weeks |
5535 |
11454 |
35 weeks |
10236 |
14694 |
|
64 weeks |
7053 |
12120 |
38 weeks |
6072 |
12624 |
|
|
48 weeks |
5077 |
10810 |
53 weeks |
6002 |
12123 |
49 weeks |
6577 |
10748 |
64 weeks |
7989 |
12105 |
70 weeks |
8957 |
12931 |
85 weeks |
10773 |
12833 |
91 weeks |
6286 |
10200 |
D farm |
E farm |
F farm |
Age of chicken |
MultinationalELISA kit |
DomesticELISA kit |
Age of chicken |
MultinationalELISA kit |
DomesticELISA kit |
Age of chicken |
MultinationalELISA kit |
DomesticELISA kit |
1 week |
2627 |
11931 |
1 week |
2564 |
11442 |
1 week |
1499 |
6553 |
2 weeks |
2392 |
6755 |
2 weeks |
2433 |
6667 |
3 weeks |
93 |
2820 |
4 weeks |
119 |
1647 |
3 weeks |
185 |
1154 |
5 weeks |
1430 |
10733 |
9 weeks |
5721 |
10723 |
12 weeks |
9006 |
13192 |
7 weeks |
3032 |
10082 |
15 weeks |
4124 |
9269 |
20 weeks |
5731 |
12567 |
12 weeks |
4133 |
10822 |
22 weeks |
4101 |
7540 |
39 weeks |
5886 |
11275 |
13 weeks |
3179 |
10192 |
31 weeks |
10265 |
16167 |
45 weeks |
6365 |
10717 |
18 weeks |
3643 |
11882 |
37 weeks |
4413 |
10148 |
49 weeks |
4199 |
8687 |
25 weeks |
4995 |
9224 |
43 weeks |
7454 |
12943 |
62 weeks |
6238 |
10886 |
30 weeks |
7248 |
10406 |
|
|
43 weeks |
5705 |
7746 |
Download Excel Table
Fig. 1.
Comparison of sensitivity of the kit in the detection of infectious bronchitis virus antibody of Broiler GP(Grandparent) A farm.
Download Original Figure
Fig. 2.
Comparison of sensitivity of the kit in the detection of infectious bronchitis virus antibody of Broiler GP(Grandparent) B farm.
Download Original Figure
결과
다국적 회사와 국내 회사에서 제조한 ELISA 키트를 이용하여 육용종계 및 원종계, 산란종계, 산란계로부터 얻어진 동일한 혈청을 사용하여 닭 전염성기관지염 백신접종 후 ELISA 항체가 변화와 각 회사별 키트의 항체가 검출 효능에 대한 비교시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육용종계와 육계에서는 국내 회사 제조 ELISA 키트와 다국적회사의 키트가 많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상대적으로 국내 회사 제조 제품이 더 우수한 항체가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공통적으로 3주령에서 가장 낮은 수치의 항체가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 3, Fig. 6).
산란종계의 경우, 5개 농장 중 A농장은 49주령에, B농장은 25주령에 국내회사 제조 ELISA 키트보다 다국적 회사의 키트가 더 높은 항체가를 나타냈지만, 이를 제외한 주령에서 국내회사의 키트가 더 높은 항체가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국적 회사의 키트의 경우, 후반으로 갈수록 확인되는 항체가 추이가 떨어지는 것에 반해, 국내회사 키트에선 대부분의 혈청이 지속적으로 높은 항체가를 기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Fig. 7).
산란계에서의 키트 항체가를 확인한 결과, 국내회사 제조 키트는 3주령 경 공통적으로 다국적회사의 키트보다 비슷하거나 낮은 항체가를 나타냈으나, 역시 대부분의 주령에서 다국적회사 키트보다 높은 항체가를 보였으며, 두 개의 키트가 산란계 주령에 따라 비슷한 추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농장에서 시란시기인 20주령 경 가장 높은 항체가를 기록하였으며, 그 후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Fig. 8).
Fig. 3.
Comparison of sensitivity of the kit in the detection of infectious bronchitis virus antibody of Broiler GP(Grandparent) C farm.
Download Original Figure
Fig. 4.
Comparison of sensitivity of the kit in the detection of infectious bronchitis virus antibody of Broiler PS(Parents stock) A farm.
Download Original Figure
Fig. 5.
Comparison of sensitivity of the kit in the detection of infectious bronchitis virus antibody of Broiler PS(Parents stock) B farm.
Download Original Figure
Fig. 6.
Comparison of sensitivity of the kit in the detection of infectious bronchitis virus antibody of Broiler PS(Parents stock) C farm.
Download Original Figure
Fig. 7.
Comparison of sensitivity of the kit in the detection of infectious bronchitis virus antibody of layer PS(Parents).
Download Original Figure
Fig. 8.
Comparison of sensitivity of the kit in the detection of infectious bronchitis virus antibody of layer CC(Commercial Chick).
Download Original Figure
고찰
닭에 감염되어 전염성기관지염을 유발하는 전염성기관지염 바이러스는 코로나바이러스에 속하며, 초생추부터 산란시기까지 다양한 주령에 신장염이나 산란 저하뿐만 아니라, 호흡기 후유증에 의한 이차감염 유발로 양계산업에 큰 경제적 피해를 입히고 있다. 이러한 바이러스를 예방하기 위해서 세계의 각 나라에서는 국가에 유행하고 있는 닭 전염성기관지염 바이러스 야외주에 알맞은 생백신 및 사독백신을 투여하고 있으며(Shimazaki et al., 2009), 국내 양계산업에서도 역시 현재의 국내 상황에 맞춰 제조된 백신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Lee et al., 2010). 이와 같은 백신의 사용으로 형성된 항체역가를 측정하는 것이 전염성기관지염의 모니터링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De Herdt et al., 2001). 따라서, 국내회사와 다국적기업에서 제조된 ELISA 키트의 검출능 비교가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육용종계 및 원종계와 산란종계, 산란계에서의 닭 전염성기관지염 백신 후 주기적으로 혈청을 채취한 뒤 다국적기업과 국내기업에서 제조한 ELISA 키트의 항체 검출율 비교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대부분의 혈청에서 다국적기업의 키트보다 국내에서 제조한 키트가 더 높은 검출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육용종계 A농장의 3번 계군은 국내 회사 제조 제품을 사용하였을 때 7,907의 항체역가를 나타내는 반면, 다국적기업 제품의 경우 단 657의 역가만을 나타내어 둘 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산란종계 C농장 28주령의 항체역가 역시 두 제품간에 11,026이라는 높은 수치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다국적기업의 키트의 경우, 국외에서 발생하고 사용되는 야외주 및 백신주에 초점을 맞춘 반면, 국내회사에서 제조된 키트의 경우 국내 상황에 맞추어 제조되었으므로 더 높은 검출율을 기록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항체가 추이를 관찰한 결과, 대부분의 농장에서 3주령경에 가장 낮은 항체가가 측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기존 논문과 비슷한 결과이다(Gelb et al., 1986).
하지만 기존 논문들의 경우 국내에서 사용되는 백신주와는 다른 백신주를 사용한 결과이므로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3주령경이 전염성기관지염에 감염되어 가장 큰 피해를 입힐 수 있는 감수성 주령과 맞물려 가장 취약한 시기가 될 수 있으므로 이를 예방할 수 있는 백신 투여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전염성기관지염 바이러스는 변이율이 높아 국내 양계 시장뿐만 아니라, 국제 양계 시장에 큰 피해를 입히고 있는 질병으로서 예방과 모니터링이 상당히 중요한 질병이다. 따라서, 정확한 항체의 측정은 전염성기관지염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다. 따라서, 국내에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전염성기관지염 백신과 이에 상응하는 항체가 측정을 할 수 있는 알맞은 키트의 사용이 중요한 관건이라고 판단된다.
사사
본 연구는 2017년도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의 연구비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Chen HW, Wang CH, Cheng IC 2011 A type-specific blocking ELISA for the detection of infectious bronchitis virus antibody. J Virol Methods 173(1):7-12 .
De Herdt P, Ducatelle AR, Uyttebroek AE, Sneep A, Torbeyns R 2001 Infectious bronchitis serology in broilers and broiler breeders: correlations between antibody titers and performance in vaccinated flocks. Avian Dis 45(3): 612-619 .
Dhama K, Singh SD, Barathidasan R, Desingu PA, Chakraborty S, Tiwari R, Kumar MA 2014 Emergence of avian infectious bronchitis virus and its variants need better diagnosis, prevention and control strategies; a global perspective. Pak J Biol Sci 17(6):751-767 .
Ding MD, Wan HN, Cao HP, Fan WQ, Ma BC, Xu PW, Zhang AY, Yang X 2015 Development of a multi-epitope antigen of S protein-based ELISA for antibodies detection against infectious bronchitis virus. Biosci Biotechnol Biochem 79(8):1287-1295 .
Gelb J, Killian SL 1986 Serum antibody responses of chickens following sequential inoculations with different infectious bronchitis virus serotypes. Avian Diseases 31:513-522 .
Lee HJ, Youn HN, Kwon JS, Lee YJ, Kim JH, Lee JB, Park SY, Choi IS, Song CS 2010 Characterization of a novel live attenuated infectious bronchitis virus vaccine candidate derived from a Korean nephropahogenic strain. Vaccine 28(16):2887-2894 .
Lee SK, Sung HW, Kwon HM 2004 S1 glycoprotein gene analysis of infectious bronchitis viruses isolated in Korea. Arch Virol 149(3):481-494 .
Lim TH, Youn HN, Yuk SS, Kwon JH, Hong WT, Gwon GB, Lee JA, Lee JB, Lee SW, Song CS 2015 Successful cross-protective efficacy induced by heat-adapted live attenuated nephropathogenic infectious bronchitis virus derived from a natural recombinant strain. Vaccine 33(51):7370- 7374 .
Shimazaki Y, Harada M, Horiuchi T, Yoshida K, Tanimura C, Nakamura S, Mase M, Suzuki S 2009 Serological studies of infectious bronchitis vaccines against Japanese field isolates of homologous and heterologous genotypes. J Vet Med Sci 71(7):891-896 .
Yan SH, Chen Y, Zhao J, Xu G, Zhao Y, Zhang GZ 2016 Pathogenicity of a TW-like strain of infectious bronchitis virus and evaluation of the protection induced against it by a QX-like strain. Front Microbiol 7:1653 .